the twenty-first century culture와 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0 18:44
본문
Download : 21세기 문화와 기술.hwp
농업사회나 산업사회와 같이, 똑같은 작업을 「주인」이나 「상사」가 시키는 대로 성실히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이용하여, 남다른 가치를 창출한다는 차원에서 「성실파괴」 현상도 일어난다. 주인은 주방장에게 손님의 요구대로 음식을 만들라고 주문하고, 배달꾼에게도 손님의 요구대로 자장면 한 그릇에 젓가락 두 개를, 그리고 양파 대신에 단무지를 배달하게 한다. A는 (별것 아닌) 지식을 활용하여 고객만족을 실천한 것이고, B는 “공급은 수요를 창조한다”는 산업사회적 사고방식 즉…(skip)
the twenty-first century culture와 기술
순서
학력파괴와 성실파괴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1. 21세기 사회의 모습학력파괴와 성실파괴그러므로 지식사회에서는 학력이 높지 않아도 기존의 지식을 활용하여 돈을 번다면(성과를 올린... , 21세기 문화와 기술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21세기 문화와 기술.hwp( 39 )
다.
배달꾼은, 101호 손님은 우동을 조금 싱겁게 해 오라고 하고, 102호는 자장면 한 그릇 주문하면서 젓가락 두 개를 가져오라 하고, 103호는 양파대신에 단무지를 달라고 하면, 그것을 일일이 수첩에 적었다가 주인에게 보고한다. 그 반면 B의 배달꾼은 손님이 까다롭게 주문할 때마다, “나는 주방장이 만들어 주는 대로 배달만 하는데”, “자장면 한 그릇에 젓가락은 하나 밖에 안되는데”, “단무지가 더 비싼데”라고 고지식한 답변만 하고 주인에게 그 사실을 말하지도 않았고, 주인도 신경을 쓰지 않았다고 하자.
A는 주문이 끊이지 않고 점점 더 장사가 잘되고, B는 주문이 감소하고 끝내는 망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지식사회에서는 학력이 높지 않아도 기존의 지식을 활용하여 돈을 번다면(성과를 올린...
레포트/인문사회
1. the twenty-first century 사회의 모습
1. 21 세기(世紀) 사회의 모습
학력파괴와 성실파괴
그러므로 지식사회에서는 학력이 높지 않아도 기존의 지식을 활용하여 돈을 번다면(성과를 올린다면), 그 사람은 지식근로자가 될 수 있다는 차원에서 「학력파괴」가 일어난다.
(지식근로자에 관해 아주 알기 쉬운 간단한 예를 하나 들겠다) 어느 아파트 타운에 중국(中國)음식점 A, B 두 개가 있다고 하자. A, B의 사장, 주방장, 배달꾼, 그리고 안내원 등의 수준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원재료도 똑같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A의 사장은 배달꾼이 배달 갈 때마다 손님에게 맛이 어떤지 물어 보고, 손님의 요구사항들을 메모해 오라고 지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