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수사의 발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06:20
본문
Download : 국어 수사의 발달.hwp
국어수사의발달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국어 수사의 발달
다.
□ 하나
<기본형> 나ㅎ, 나, 나ㅎ
弟子 나 주어시든 말 드러 이지다.국어수사의발달 , 국어 수사의 발달인문사회레포트 ,






15세기 이래로 보이는 고유어계 수사들의 변천 모습을 다음에 보인다. 보이는 내용 및 순서는 변화 또는 변이의 상황을 알 수 있는 형태를 제시하고 참고로 차자표기가 있는 경우 그 예를 보인다. (釋譜6:22)
노릇하던 그 놈들히 노의여 나토 귀수리 업서(老乞大下:50a)
常言에 닐오 나히 가매 이 온다 니라(朴通下: 34a)
혹 샹 이셔 나 살고 나흔 살고 나흔 주것거든<胎産 35b>
나 론 덕과 업과로 서 권호미오(呂氏鄕約1)
나: 一 (漢淸文鑑4:25)
<차자표기>
一曰河屯<鷄林類事)
一哈那(朝鮮館譯語)
<관형사형>
왼 녀긔 點을 더으면(訓正註解)
늘근 하나비로라(杜詩諺解 9:7)
긔 우희 一半은 자 여 치를 온재 디 아니야(家禮6: 7b)
깁 필에 믈 갑시 두 돈이오(老乞上: 12b)
<서수사> 낟재, 낫재, , 첫 ‘, 첫’은 국어의 서수사에 존재하는 유일한 보충법 변화이다. 이는 마치 …(省略)
순서
Download : 국어 수사의 발달.hwp( 33 )
국어 수사의 발달에 상대하여 쓴 글입니다. 그리고 날짜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수사들 또한 특이하므로 그 형태들을 요약하여 둔다. 또 국어의 수사는 관형사형으로 사용될 때 특이한 모습을 보이므로 그 事例(사례)를 보이며, 서수사로 사용하는 방법은 다소 규칙적이지만 변이가 존재하므로 보이는대로 요약해 둔다.국어 수사의 발달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