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arrangement),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19:08
본문
Download : [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 분석.hwp
교수님의 수업과 함께 했기에 중요한 것을 잘 고르고 예문도 적절히 적었습니다.
…(skip)
이 책을 꼼꼼히 요약했습니다. 언어학의 큰 줄기를 소리연구(음운론), 문법연구(통사론), 의미연구(의미론)로 3분할 경우 발화의 전달 과정상 순서는 이렇게 될 것이다.
![[국어%20의미론]%20요약,%20정리,%20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20%EC%9D%98%EB%AF%B8%EB%A1%A0%5D%20%EC%9A%94%EC%95%BD,%20%EC%A0%95%EB%A6%AC,%20%EB%B6%84%EC%84%9D_hwp_01.gif)
![[국어%20의미론]%20요약,%20정리,%20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20%EC%9D%98%EB%AF%B8%EB%A1%A0%5D%20%EC%9A%94%EC%95%BD,%20%EC%A0%95%EB%A6%AC,%20%EB%B6%84%EC%84%9D_hwp_02.gif)
![[국어%20의미론]%20요약,%20정리,%20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20%EC%9D%98%EB%AF%B8%EB%A1%A0%5D%20%EC%9A%94%EC%95%BD,%20%EC%A0%95%EB%A6%AC,%20%EB%B6%84%EC%84%9D_hwp_03.gif)
![[국어%20의미론]%20요약,%20정리,%20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20%EC%9D%98%EB%AF%B8%EB%A1%A0%5D%20%EC%9A%94%EC%95%BD,%20%EC%A0%95%EB%A6%AC,%20%EB%B6%84%EC%84%9D_hwp_04.gif)
![[국어%20의미론]%20요약,%20정리,%20분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20%EC%9D%98%EB%AF%B8%EB%A1%A0%5D%20%EC%9A%94%EC%95%BD,%20%EC%A0%95%EB%A6%AC,%20%EB%B6%84%EC%84%9D_hwp_05.gif)
![[국어%20의미론]%20요약,%20정리,%20분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AD%EC%96%B4%20%EC%9D%98%EB%AF%B8%EB%A1%A0%5D%20%EC%9A%94%EC%95%BD,%20%EC%A0%95%EB%A6%AC,%20%EB%B6%84%EC%84%9D_hwp_06.gif)
[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arrangement), 分析(분석)
순서
목차 참고해 주세요 ~
국어 의미론 / 임지룡 / 탑출판사 / 2008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 분석.hwp( 92 )
제1장 의미론의 기본관념
1. 의미론의 기본적 이해
2. 의미의 기본적 이해
3. 의미의 본질
제2장 의미의 ingredient 분석
1. ingredient분석 理論의 개관
2. ingredient분석의 원리와 절차
3. 의미ingredient의 유형
4. ingredient분석의 확장
5. ingredient분석의 한계
제4장 의미의 계열관계
1. 동의관계
2. 상하관계
3. 대립관계
제5장 의미의 결합관계
1. 대등합성어
2. 혼성어
3. 관용어
4. 연어
제6장 의미의 복합관계
1. 다의관계
2. 동음관계
3. 다의어와 동음어의 구별
4. 중의관계
제8장 문장의 의미
1. 문장의미의 성격
2. 문장구조와 의미
3. 문장의 의미속성
제9장 발화의 의미
1. 발화의미의 성격
2. 화맥
3. 발화행위
참고 문헌
제1장 의미론의 기본 관념
1.의미론의 기본적이해
1.1. 의미론의 지위
- 의미론은 언어의 의미를 연구하는 학문분야의 하나이다.
1.2.2. 의미론의 탄생기
- 19세기는 의미론의 탄생기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화자 -> <의미론> - <통사론> - <음운론> -> 청자
- 첫째로 의미론은 어휘, 문장, 발화단위의 의미나 전달가치를 규명하는 분야이다.
국어 의미론 / 임지룡 / 탑출판사 / 2008이 책을 꼼꼼히 요약했습니다.
1.2 의미론의 흐름
1.2.1. 그리스 로마시대
- 아리스토텔레스가 ‘낱말’이 언어의 의미를 나타내는 최소의 단위라고 규정했다.
교수님의 수업과 함께 했기에 중요한 것을 잘 고르고 예문도 적절히 적었습니다. 목차 참고해 주세요 ~국어의미론-임지룡35 , [국어 의미론] 요약, 정리,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국어의미론-임지룡35
설명
다.
셋째로 음운론은 소리와 그 조직에 관한 질서를 규명하는 분야이다.
둘째로 통사론은 문장을 구성하는 크고 작은 단위들의 결합원리를 규명하는 분야이다. 비교언어학이 출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