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실천기술론 - 가족대상 실천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6 13:38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 가족대상 실천기술.hwp
가족 성원들은 환류고리(feedback loop)에 따라 규범을 서로 강화하고, 규범으로부터 지나치게 벗어나려는 행동을 부적(negative) 환류과정을 통해 저지함으로써 항상적 균형에 기여한다. ,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 가족대상 실천기술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다. 가족대상 실천을 위한 기본개념과 가족개입 초기(사정과 계획)와 진행기(실행), 종결기(평가와 종결)에 주로 적용되는 실천기술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가족체계는 항상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형태 발생성(morpho-genesis)에 따라 체계 내외의 變化에 適應하려 하며, 가족 성원들은 정적(positive) 환류과정을 통해 變化에 대한 適應에 기여한다. 또한 가족은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환경체계들과 구분되는 경계(boundary)를 가진다.
3. 환류고리 (feedback loop)
가족은 가족 내 규범을 규정하고 강화함으로써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려는 속성을 가진다. 가족은 환경체계들과의 경계 뿐 아니라 가족 내 하위체계간의 경계에 의해 구분되며, 가족 내 경계 역시 유리되거나 밀착 될 수 있따
5. 의사소통
가족성원의 모든 행동은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 볼 수 있따 의사소통은 다음의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4. 가족 구조
가족체계는 구조, 즉 가족 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조직화된 유형을 가진다. 가족대상 실천을 위한 기본槪念과 가족개입 초기(사정과 계획)와 진행기(실행), 종결기(평가와 종결)에 주로 적용되는 실천기술에 마주향하여 요점했습니다.가족대상실천기술에 대해 쓴 글입니다.
2. 순환적 인과성 (circular causality)
가족 내 한 성원의 變化는 다른 성원들과 가족 전체에 影響을 미치며, 이런 影響은 다시 變化를 가져온 성원에게 순환적으로 影響을 미친다.
순서
Download :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 가족대상 실천기술.hwp( 14 )
레포트/인문사회
Ⅰ. 가족대상 실천을 위한 기본 관념
1. 가족생태학 (family ecology)
2. 순환적 인과성 (circular causality)
3. 환류고리 (feedback loop)
4. 가족 구조
5. 의사소통
6. 가족 발달과 세대간 변천
Ⅱ. 가족개입 초기(사정과 계획)에 주로 적용되는 실천기술
1. 관계형성
2. 가족 사정
3. 생태도 작성과 analysis
4. 가계도 작성과 analysis
<그림1> 생태도의 예
<그림2> 가계도의 상징들
<그림3> 가계도의 예
Ⅲ. 가족개입 진행기(실행)에 주로 적용되는 실천기술
1. 환경적 개입
2. 세대간/가족 내부의 變化를 위한 개입
1) 탈삼각화 (detriangulation)
2) 가족 조각 (family sculpture)
3) 가족 그림 (family drawing)
4) 경계 만들기 (boundary making)
5) 균형 깨뜨리기 (unbalancing)
6) 역설적 지시 (paradoxical directives)
7) 질문기법
8) 재구성 (reframing)
9) 긍정적 의미부여 (positive connotation)
10) 문제의 외현화 (externalization)
11) 가족 중재 (family mediation)
12) 역할연습 (role playing)
Ⅳ. 가족개입 종결기(평가와 종결)에 주로 적용되는 실천기술
Ⅰ. 가족대상 실천을 위한 기본 관념
1. 가족생태학 (family ecology)
주변 사회 환경과 끊임없이 상호작용하며, 사회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가족의 기본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필수 자원과 지지를 확보한다.
- 내용(content)기능 : 사실적인 정보, 意見(의견), 감정을 전달
- 관계 기능 :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관계의 속성을 규정
의사소통은 개방적이며, 직접적으로 분명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skip)
,인문사회,레포트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 가족대상 실천기술






가족대상실천기술에 대해 쓴 글입니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행동을 단선적(linear)이 아닌 순환적 反應(반응)으로 이해해야 하며, 작용(action)이 아닌 반작용(reaction)으로 이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