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택배 산업의 전망과 발전 방안(方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22:05
본문
Download : 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택배 산업의 전망과 발전 방안.hwp
동북아물류중심을위한택배산업의전망과발전방안_0811 , 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택배 산업의 전망과 발전 방안경영경제레포트 ,
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택배 산업의 전망과 발전 방안(方案)
에 分析한 입니다. 政府나 공항당국이 인천국제공항 건설 구상초기부터 외국 물류기업에 대한 프로모션을 하지 않은 것도 씻을 수 없는 오점이 되고 있다아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를 동북아 물류거점화 작업의 조건으로 설정했다면 인천공항 건설 계획단계 때 외국 물류기업들에게 접근했어야 한다는 얘기다. 외국계 물류기업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인천공항 이용시 비용부담이 커서 물량이 몰리지 않기 때문에 인프라에 여유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물량이 몰린다면 연계 수송상의 한계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아 현재 인천공항을 연결하고 있는 도로는 1개. 게다가 인천공항을 나와 88도로나 강변도로와 이어지는 곳에서는 트럭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고 있는데다 병목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아 flight(항공)화물 서비스는 시간과의 싸움. 따라서 원활한 연계 수송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는 한 허브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공항내 웨어하우스의 경우 안전문제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운영되기 때문에 사람들이 다치는 사고가 잦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아 시설은 되어 있지만 `사람`을 생각하지 않는 인프라로 …(drop)
레포트/경영경제
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택배 산업의 전망과 발전 방안(方案)
순서
Download : 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택배 산업의 전망과 발전 방안.hwp( 71 )
다. 하지만 물류기업들의 `인트랜짓 허브` 결정에 있어 첫번째 이슈는 랜딩 코스트다. 이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오지 않는다. 물론 시설확충, 24시간 통관 등 improvement작업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다 지어놓고 공간이 남으니까 외국기업을 불러들이려 세일즈하는 `뒷 북치기`로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지적. 인천국제공항의 안전불감증도 글로벌 물류기업 유치 strategy의 걸림돌이다. 게다가 인천국제공항은 연계 수송시스템이 열악하다. 공항당국이 당초 약속했던 랜딩 코스트를 낮추지는 않고 알게 모르게 올리고 있다는 데 대한 반발이다.동북아 물류 중심을 위한 택배 산업의 전망과 발전 방안에 분석한 자료입니다.






동북아물류중심을위한택배산업의전망과발전방안(方案)_0811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목차
Ⅰ. 서론
Ⅱ. 택배업의 현재상황과 展望(전망)
1.국내 택배 산업의 현재상황
①택배업의 개요와 특징
②택배업의 발전 현재상황
2.日本(일본) 택배 산업의 현재상황과 展望(전망)
Ⅲ. ㈜한진 택배사업부의 현재상황 및 경영strategy
1 조직 구성과 현재상황
2. 경영 혁신 事例(사례) 연구
3. 2005년도 경영계획
4. ㈜한진, 100대 브랜드 진입
IV. 물류허브, 외국계 기업 시각
1. 해운부문의 가능성
2. flight(항공)허브의 가능성
3. 불합리한 관행
4. 정책적 한계
5. 中國에 대한 시각
V. 택배 산업의 展望(전망) 과 발전 대책
1. 국내 택배업의 展望(전망) 과 발전 대책
2. ㈜한진 택배 사업부의 중장기적 展望(전망) 과 발전대책
Reference List
다만 flight(항공)의 경우 동북아 허브까지는 아니더라도 `인트랜짓 허브`는 될 것으로 보고 있다아 그러나 동북아 허브 공항을 목표(目標)로 개발중인 인천국제공항에 마주향하여 도 할 말이 많은 것 같다. 외국기업들의 경우 투자계획을 검토, 수립하고 집행하는 데 1년 이상이 걸리는 것이 경영의 관행이다.